호돌찌의 AI 연구소
article thumbnail

https://corporatefinanceinstitute.com/resources/knowledge/finance/sharpe-ratio-definition-formula/

 

포트폴리오 구성의 컨셉은 아이디어만 많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포트폴리오를 짤 수 있습니다. 또한 공격적 성향, 안정적 성향 등 본인 성향에 따라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컨셉기준으로 성장주 위주, 가치주와 성장주 혼합 방식, 시장이 큰 충격이 와도 흔들림이 덜한 변동성이 작은 주식들로 구성하는 전략, 시가총액이 큰 종목들을 구성한 우량주 전략, 리밸런싱 기간을 짧게 잡은 소형주 전략 등 다양하게 서술을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어떤 포트폴리오, 전략이 좋아요? 이 부분은 정답이 없기 때문에 저도 모르겠습니다. SNS나 유튜브, 블로그에 수익률을 자랑하는 글들이 상당히 많이볼 수 있습니다.(저도 그런 사람입니다.) 증권사에서는 짧은 기간의 투자대회가 많이 열리기도 합니다. 근데 이 행위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금융 시장의 진리는 리스크를 크게 지면 리턴도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는 리스크를 고려한 수익률 자랑이 상대적으로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식보다는 일단 먼저 논의를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바로 포트폴리오 성과 지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번 글 시리즈에서 첫 번째 글에서 언급했듯이 많은 사람들이 종목을 다양화하지 않고 변동성을 즐기고 있습니다.

2019년 12월 결산 상장법인 보유종목별 소유자 분포 현황, 자료 : 한국예탁결제원

2년전 자료 기준으로 몰빵 투자는 41% 비중을 차지합니다. 70% 정도 개인투자자가 3 종목 이하 투자를 합니다. 종목수가 적으면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호재가 나타나면 엄청난 수익을 뽑을 수 있지만 악재가 나타나면 전체 내 포트폴리오는 크게 흔들리겠지요? 만약에 10년 동안 2가지 방법으로 투자를 한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x축은 년, y축은 누적 수익률입니다. 누가보아도 어디에 투자하고 싶어요?라고 물어봤을 때 당연히 수익의 기울기가 큰 A 전략을 선호할 것입니다. 하지만 수익률 곡선을 아래처럼 바꾸어 보겠습니다.

 

 10년동안 투자했을 때 2가지 전략이 마지막에는 복리로 200% 수익을 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대다수 사람들은 A 전략을 선호할 것입니다. 선형적으로 수익률이 보장된다면 심적으로도 편하고, 인생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본인이 급한일이나 목돈이 필요하게 될 일이 생깁니다. 그래서 돈을 뺄 때에도 부담 없이 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략을 평가할 때 어떤 것을 활용할 수 있을까요? 여러 지표들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것이 Sharpe Ratio가 있습니다. 이 지표가 많은 허점이 존재는 하지만 초보자들이 제일 쉽게 이해하기 쉽고 많이 쓰는 지표입니다. 초보자들도 이해하기 쉽고 저도 전략을 구축하고 여러 중요시하게 평가하는 지표가 Sharpe Ratio입니다. 

Sharpe Ratio는 투자 성과 판단용 지수이고 높을 수록 좋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키 백과에서 Sharpe Ratio 공식을 퍼왔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샤프 비율

정말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리스크 대비 수익률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지금은 거의 제로 금리 시대이기 때문에 막말로 수익률/표준편차, 수익률/리스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당 참고 글에서의 공식에서 분모가 자산 수익률의 표준편차입니다. A 전략은 잔잔하게 수익률 곡선이 올라가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상당히 작고, B전략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큽니다. 따라서 A 전략이 Sharpe Ratio가 더 좋은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Sharpe Ratio는 본인의 포트폴리오와 시장 지수(벤치마크)를 비교해서 시장님을 이겼는지 졌는지 비교를 많이 합니다. 예를 들어서 1년동안 코스피가 40% 올랐다고 가정하고, 내가 구성한 포트폴리오가 50% 올랐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리고 본인 포트폴리오의 월간 수익률에서 코스피의 원간 수익률을 뺀 값의 표준 편차가 5%라면, Sharpe Ratio는 (0.50-0.40)/(0.05*12개월^(1/2)) = 0.57. 약 0.57이 됩니다. 방금처럼 벤치마크 자산의 수익률, 특정 시장지수(예를 들면 코스피, S&P 500, 나스닥 등) 벤치마크와 비교를 했을 때 Shapre Ratio를 때로는 Information Ratio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 다른 척도로는 자산 수익률의 표준편차가 아닌, 손실만 일어난 날의 수익률의 표준편차를 반영한 Sortino Ratio라는 지표도 존재합니다. 전부 Sharpe Ratio의 사상과 똑같기 때문에 높은 값일수록 적은 위험으로 높은 수익을 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에서 Sharpe Ratio가 1이 넘으면 정말 좋은 포트폴리오라고 합니다.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대가들의 Sharpe Ratio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간 대상 연평균수익률 변동성 Sharpe Ratio
1977~2016 미국 주가지수 6.9% 15.5% 0.45
1977~2016 워렌 버핏 17.6% 23.6% 0.74
1977~1990 미국 주가지수 7.1% 16.4% 0.43
1977~1990 피터 린치 20.8% 21.2% 0.98
1993~2005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메달리온 펀드 - - 1.68

하지만 기간이 정말 다르고 다루는 자금의 Capacity가 다르기 때문에 이 성과 지표가 완벽한 포트폴리오 성과 지표는 아닙니다. 따라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의 퀀트 펀드의 전략이 최고냐고 질문 했을 때 대단하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 투자는 대부분 1을 넘기기가 어렵고 1.5~2.0이면 상당히 Top급이라고 합니다. 초 장기적으로 10년 이상으로 Sharpe Ratio 1 이상을 유지하는 펀드는 미국에서 존재하지 않다고 합니다. 기간이 짧으면 Sharpe Ratio는 얼마든지 올릴 수 있지만 위의 표에서의 제시된 기간은 정말 시장에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대가들이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그래도 이 글의 컨텐츠는 Sharpe Ratio가 높이기 위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특히 작년에 불장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Sharpe Ratio가 1이 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일단 다양한 금융상품들의 조합이 아닌 오로지 주식 종목 안에서 활용을 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미국 주식만 활용을 해볼 예정이고 ETF는 제외하고 개별종목으로만 구성하여 글을 써볼 예정입니다.

 

제가 종목을 선택하면 매수, 매도 의견이 비춰질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선정한 종목 기준은 실제 제 지인이 실제 홀드 중인 종목을 바탕으로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해당 지인은 월 1천만 원 배당을 받는 것이 목표, 즉 배당 월천대사가 꿈이며 좋아하는 투자 방법은 미국 빅 테크 종목과 배당을 선호하며 매도 버튼을 쉽게 누르지 않으며 큰 조정이 있을 때 진입을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종목(티커) 종가 21.08.06 기준 상장일
마이크로소프트(MSFT) 289.46 1986.3.14
엔비디아(NVDA) 203.66 1999.1.22
애플(AAPL) 146.14 1981.8.7
페이스북(FB) 363.51 2012.5.18
테슬라(TSLA) 699.1 2010.7.2
아마존(AMZN) 3344.94 1997.5.16
메인 스트리트 캐피털(MAIN) 41.74 2007.10.5
제이피모건체이스(JPM) 157.5 1981.8.7
리얼티인컴(O) 70.62 1994.10.21
스타벅스(SBUX) 119.05 1992.6.26

 

위 종목들은 성장주에서도 많이 들어본 주식이고, 배당주에서도 많이 들어본 주식입니다. 금리의 움직임과 반대로 움직이는 은행주도 보유 중입니다. 거의 포트폴리오가 빅테크 위주이긴 하지만 섹터도 전기차, 반도체, 광고 등 나름대로 서로 상관성이 덜한 종목들 위주로 구성을 한 것처럼 보이네요. 위 종목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을 디테일하게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 편에서 뵙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호돌찌의 AI 연구소

@hotorch's AI Labs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